본문 바로가기

복잡성2

[개념] 조립이론(Assembly therory) - 조립의 관점으로 보는 생명현상 최근 안될과학에서 김응빈 교수님이 조립이론(Assembly Theory)를 언급하셨다(영상 11분 즈음). 예전 그래프 커뮤니티에서도 잠깐씩 봤던 키워드라 한 번 관련 글을 찾아볼까 했는데, 마침 콴타매거진에 이 이론을 다룬 기사가 있었다. A New Idea for How to Assemble Life - Philip all, Quantamagazine 조립 이론은 Cronin과 Walker의 고민으로부터 시작되었다는 설명이다. Cronin은 왜 원자들은 가능한 천문학적인 결합의 방법 중 어떤 분자는 만들고, 어떤 분자는 만들지 않을까를 고민했고, Walker는 살아있는 유기체의 분자가 우연히 조합되기에는 너무 복잡하다는 것을 고민했는데, 이 둘이 만나 토론하던 중 공통적으로 필요성을 느낀 것이 Ass.. 2023. 7. 6.
[개념] Time series data의 Complexity - 개요 뇌 과학 분야에서 Time series data가 가진 다양한 정보 중 Complexity(복잡성)의 중요성이 조명을 받고 있다고 한다. fNIRS나 EEG와 같은 방법을 통해 취득한 뇌 활동 data에서, 단순히 각 영역의 활성도 뿐만이 아니라, 각 영역 간 기능적 결합성과 복잡성 또한 중요한 특성임이 밝혀지고 있는 것이다. 보통, 시계열 데이터 하면 Trend(경향)이나 Cycle(주기)과 같은 성질이 주로 관심 받는 성질인데, System의 메카니즘을 추정하기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이에, 자기상관이나 푸리에변환 같은 기법은 시계열 데이터 분석의 주를 이루고 있다. 반면, Complexity는 System의 복잡도를 나타낸다. 이는 계의 카오스 적인 성질, 초기 조건에 민감하며 예측이 힘든 정도를 정.. 2019. 10.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