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 model4 [네트워크이론] degree에 따른 attachment rate 구하기 - 실전편 이전에 작성했던 degree에 따른 attachment rate 구하기 방법의 특징을 BA model을 이용해서 확인해 본다. BA model은 이전에 작성했던 방법을 조금 수정하여 작성했다. BA model을 100,000 스탭 성장 시킨 후, 세 방법을 적용해 구한 attachment rate 결과는 다음과 같다. BA model은 실제로 degree에 비례한 attachment rate로 성장시킨 model인 degree-attachment rate가 선형 관계를 지닌 model이다. 세 방법 모두 다 degree가 증가할 수록 attachment rate가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BA model이 지닌 degree에 비례한 attachment rate의 특성이 잘 나타난다. Jeong.. 2020. 3. 18. [네트워크과학] 척도 없는 연결망 논란 고등과학원 웹진 HORIZON 김범준 교수님 투고글을 읽고. 최근 발표된 논문으로 척도 없는 연결망에 대한 논쟁에 불이 붙었다고 한다. 생각해보니 나도 척도 없는(scale-free) 연결망이라는 표현을 완전히 이해했다기보다는 알게 모르게 익숙해 진 것 같다. 척도 없는 연결망의 대표적인 성질은 "node가 지닌 이웃의 수(k)와 그러한 node들이 네트워크 속에서 차지하는 비율(P(k))의 거듭 제곱 관계"로 설명된다. 이러한 성질은 프랙탈처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규모(scale)와 관련된 형질도 아니어서 그런지, 무엇을 의미하는지 쉬이 와 닿지 못했던 것 같다. 그래서 척도 없는 연결망에 대해 글로 정리해본다. 일반적으로 척도 없는 연결망을 설명할 때면, 연결망 속에서 이웃 수 k를 지닌 no.. 2019. 6. 5. [네트워크이론] degree에 따른 attachment rate 구하기 Barabasi-Albert 모델에서 중요한 것은 Preferential attachment와 Network의 성장이다. 이 규칙을 통해 신규 유입되는 node들은 link의 개수가 많은 node와 연결을 맺을 확률이 높고, 이는 다른 node와 비교했을 시 아주 많은 link를 지닌 node, 즉 Hub들을 만들어낸다. 하지만, 특정 네트워크에서 이러한 규칙을 조금 더 엄밀히 살펴보기 위해 실제 node들이 연결을 갖는 비율 Attachment rate를 구하는 방법이 있다. 이 Attachment rate가 실제로 node가 지닌 link 수(degree, 관용적으로 k로 표현)에 비례하는가 확인함으로써 특정 네트워크가 지니고 있는 BA 모델의 성질을 확인할 수 있다. 오늘은 in-degree net.. 2018. 12. 7. [시뮬레이션] python으로 BA 모델 만들기 BA모델을 이해하더라도 실제 구현하기는 힘이 든다. BA모델 특징상 노드가 10,000 개 이상의 아주 큰 network 에서 그 특징이 뚜렷히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래서, BA모델을 만들어볼 수 있는 방법을 여러가지 소개해 보는 글을 쓰기로 했다.BA모델 이론적 배경 관련 포스팅 2017/10/14 - [연구/리뷰] - [논문소개] Emergence of Scaling in Random Networks2017/10/22 - [연구/리뷰] - [논문소개] Barabasi-Albert model (바라바시 알베르트 모델)2018/04/26 - [연구/연구] - [연구] BA 모델 고찰2018/05/10 - [연구/연구] - [고찰] BA 모델 고찰2 환경은 python 3.5를 기반으로 작성하였다. 방법1.. 2018. 6. 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