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ocal2

[네트워크이론] Local assortativeness 예전 네트워크 동류성(Assortativity), 특히 Degree 동류성을 다뤘던 적이 있다. 오늘은 M. Piraveenan, M. Prokopenko, A. Y. Zomaya 의 논문 'Local assortativeness in scale-free networks'을 토대로 지역적인 assortativity,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각각의 node가 전체 assortativity에 기여하는 정도를 정량화 하는 방법을 정리해보려 한다. 먼저, 총 network의 assortativity를 구하는 방법부터 복습. Degree assortativity는 링크 양단의 node의 link 수 간의 상관계수이다. 이 때 상관계수를 살펴볼 link 수로는 두 node 사이를 연결한 링크를 제외한 $k = Deg.. 2022. 8. 17.
[네트워크 이론] local clustering과 global clustering이 다른 이유 Degree 편향을 보정한 결집계수를 다룬 글에서 잠깐 거론된 바가 있는데, 지역적으로 clustering 계수를 구해서 평균을 낸 결과와, 전역적으로 clustering 계수를 구한 결과는 전반적으로 같은 경향을 보이지만, 그래프의 구조적 특성에 따라 크게 상이할 수 있다. 이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룬 논문이 있어 간략히 정리해본다. 이 문제를 풀기 위해 저자는 Windmill graph를 이용한다. Windmill graph는 한 node를 중심으로 완전 그래프 k(k개의 node가 서로 모두 연결된 그래프)가 n개 연결되어 있을 때, W(n, k)로 표시한다. node 하나를 중심으로 완전그래프들이 펼쳐진 모습이 마치 풍차의 모습과도 같다. 이 때, n을 무한히 늘리면, local clustering.. 2021. 6.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