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네트워크과학

[논문소개] Homophily and minority-group size explain perception biases in social network

by 죠옹 2019. 9. 4.

 네트워크라는 평면적이지 않은 복잡한 구조 속에서 일어나는 현상에는 어떠한 특징이 있을까? 이러한 질문은 복잡 네트워크를 연구하는 중요한 motivation 중 하나 일 것이다.


 오늘 소개하는 논문 'Homophily and minority-group size explain perception biases in social network'은 사회에서 비주류(소수자) 그룹의 규모에 대한 인식이 그 사회의 구조에 기인할 수 있음을 설명하는 논문이다.


 사회의 구성원은 그 특성에 따라 다수와 소수로 나누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남성과 여성,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흡연자와 비흡연자와 같은 특성이 다양한 사회에서 다수자와 소수자로 나타날 수 있다. 

 이 때, 사회 구성원 간의 관계를 네트워크로 나타내면 끼리끼리 관계를 짓고 있는 구조와 다양하게 섞여있는 구조가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 차이가 실제의 소수자의 비율과, 개개인이 인식하는 소수자의 비율에 편향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 논문의 착안점이다.


 사회를 구성하는 네트워크를 3자의 입장에서 전체적으로 바라보면 그 구조와 형태를 가늠해볼 수 있지만, 실제로 네트워크 상에서 개인이 직접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사회는 선으로 연결된 부분이 한계일 것이다. 그렇다면 네트워크에서 개개인이 직접 접하는 주변에 대한 인식의 총합이 전체를 설명할 수 있을까?

 네트워크는 다양한 특성들이 끼리끼리 모여 있는 Homophilic network와 균등히 섞여있는 Heterophilic network로 구분 지어 볼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개인이 바라보는 소수자의 비율의 총합은 Homophilic network에서는 실제보다 적게 평가되고, Heterophilic network에서는 실제보다 많게 평가될 수 있다는 결과를 제시한다. 또한 소수자와 다수자를 Grouping 하여, 각각의 Group에 대한 인식과 상호 Group간의 인식 또한 Homophilic의 정도에 따라 편향될 수 있음을 실제 Data와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설명한다.


 인간은 끼리끼리 뭉치는 성향이 있으며, 네트워킹은 고정적 후보군 속에서의 선택을 벗어나 자유롭고 개인 취향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처럼 homophily(동종선호도)가 폭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잠재한 시대에서 어떠한 인식의 편향이 발생할 수 있는지 설명하고 있는 논문의 관점이 흥미롭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