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행복

[칼럼소개] 남의 시선과 의무감을 벗어던질 때 최고의 성과가 나온다 - 동아 사이언스

by 죠옹 2018. 1. 8.

 동아 사이언스에서 재미있는 기사를 읽고, 글을 적어본다.

(사이트 참조: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21018&utm_source=fb)


 글 제목은 "[지뇽뇽 사회심리] 남의 시선과 의무감을 벗어던질 때 최고의 성과가 나온다.

 글쓴이 이신.. "지뇽뇽"님은 사회심리학을 전공하셨던 분으로, 심리학 연구결과를 대중에게 소개하는 일을 하고 계신다고 한다.


 글이 읽기 쉬워서 사이트의 본문을 읽어보는 것이 더 도움이 될 것 같지만, 내용을 간단히 정리해보자면 뭔가 하려고 할 때 내가 남들에게 어떻게 보일지를 의식하게 되면 그만큼의 퍼포먼스가 안나온다는 것이다. 평소에 잘하다가도 누군가가 지켜보고 있다는 느낌이 들게 되면, 혹은 하던 일이 의무감에 의한 일이 된다면 그만큼의 실력이 안나오게 되는 걸 경험하곤 한다. 어머니가 "방 치워라~" 했는데, "아 치우려 했는데 어머니가 말하니까 치우기 싫어졌어~!" 가 이에 해당할까? 좋은 핑계 거리다~


 기사에서 흥미로운 부분을 발췌해 보자면 다음과 같다.


 실제로 어떤 일이든지 간에 누구보다 나 자신을 위해 일에 열중하는 경우 똑같은 노력을 들여도 부정적 정서는 훨씬 적게 느끼고 높은 긍정적 정서와 자신이 성장한다는 느낌, 자아실현에 한 발짝 더 다가갔다는 충만함과 의미감을 느끼는 현상이 나타난다. 심리학자 칙센미하이는 다수의 연구를 통해 뛰어난 기량을 보이는 사람들의 다수가 타인의 시선에 대한 걱정이나 의무감 등에서 벗어나 일과 자신이 하나가 되는 경험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를 몰입(flow)라고 한다.(Nakamura, & Roberts, 2017).


 연구자들은 이런 몰입이 가능하려면 우선 어떤 외적 보상과 상관없이 그 일 자체가 커다란 행복을 가져다 주어야 한다고 본다(Nakamura, & Roberts, 2017). 예컨대 운동이나 예술적 활동 외에도 밀린 드라마를 하루에 수십회 정주행 하거나, 좋아하는 게임에 푹 빠지는 등 자신이 너무 좋아하는 활동을 할 때 우리는 어렵지 않게 세상 걱정근심이 모두 사라지고 시간의 변화 조차 느껴지지 않는 몰입 상태를 경험하곤 한다. 보통 이런 활동들은 굳이 누가 칭찬해주든 칭찬해주지 않든 전혀 상관 없이 계속해서 하게 되는 것들이다. 누가뭐라고 해도 내가 좋으니까.


 몰입 상태의 긍정적 효과에 대해 언급하고 있으며, 몰입상태가 되기 위해서는 행위 자체가 자발적이여야 함을 이야기 하고 있다. 하지만, 자발적인 행위로 행복을 연관짓기에 자발적인 행위라는 개념을 정확히 정의내리기는 참 힘이든다. 본능에 충실하라는 의미일까? 자발성은 어디서 나오는건가?


 이런 생각을 해본다. 하나로 통합된 의식은 자아를 만들어 내고, 자아를 통해 세상과 자신을 구분짓는다. 그리고 의식은 본능적인 생체의 기저신호와 경험적 정보들의 통합을 통해 시시각각 변화해 나간다.

 하나로 통합된 의식, 즉 자아는 일관성을 필요로 한다. 시시각각 들어오는 정보들을 중요도에 따라 선별해야하며, 이 가중치는 변하기 쉬운 것이 아니여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자아는 세상과 섞이게 되어 자아로써 존재하지 못할 것이다. 이렇게 자아가 갖는 고유성을 자아의 "관성"이라 생각해보자. 이 관성은 변할 수는 있지만 쉽사리 변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성질이 나의 특징을 만들어낼 것이다. 그렇다면 이 자아의 관성이 자발성이라고 보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까?


 행복과 자발성은 관련이 있다고 한다. 행복이란 우리가 긍정적으로 느끼는 감정이며, 우리는 그 상태를 유지하고 지향한다. "목표"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의 "목표"는 자발성과 관련이 있다는 것인데, 자발성을 위에서 처럼 자아가 갖는 고유성으로 생각해보면, 우리의 "목표"는 "자아를 유지하는 것" 이라고 얘기할 수 있는것인가?


 여기까지 생각해보니, 수많은 팽이들이 돌고 있는 세상이 연상된다. 팽이들은 각자의 관성을 지니고 팽팽 돈다. 같은 방향으로 도는 팽이들은 부딪혔을 때, 서로의 속도를 감속시키면서 튕겨나갈 것이며, 다른 방향으로 도는 팽이는 가속되거나 감속되며 서로에게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 팽이가 멈추고 돌지 않게 된다면 팽이의 특성을 잃을 것이다. 아주 오랜시간이 지나고 나서도 돌고 있는 팽이들은 마치 그렇게 돌도록 짜여진 것처럼 주변의 팽이들과 관성을 주고받고 있지 않을까? 그리고 그 팽이가 단지 도는 것 이외의 복잡함을 지닌다면 마치 그 팽이가 그러한 선택을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 않을까? 


 몰입 상태와 행복 그리고 사회의 관계를 풀어내보고 싶은 나에게는 이런 연구내용과 기사가 큰 자극이 된다. 사람의 자아라는 것이 내 안의 정보들이 통합된 것이라면, 사회 구성원의 이야기들이 통합된 사회에게도 자아라는 것이 존재할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도 그 형체를 유지하는 자의식들에게는 그러한 자의식이 흩어지지 않도록 하는 장치, 인간이 행복을 추구하는 것처럼, 그러한 장치가 존재하지 않을까 싶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