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150 [시뮬레이션] python으로 BA 모델 만들기 BA모델을 이해하더라도 실제 구현하기는 힘이 든다. BA모델 특징상 노드가 10,000 개 이상의 아주 큰 network 에서 그 특징이 뚜렷히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래서, BA모델을 만들어볼 수 있는 방법을 여러가지 소개해 보는 글을 쓰기로 했다.BA모델 이론적 배경 관련 포스팅 2017/10/14 - [연구/리뷰] - [논문소개] Emergence of Scaling in Random Networks2017/10/22 - [연구/리뷰] - [논문소개] Barabasi-Albert model (바라바시 알베르트 모델)2018/04/26 - [연구/연구] - [연구] BA 모델 고찰2018/05/10 - [연구/연구] - [고찰] BA 모델 고찰2 환경은 python 3.5를 기반으로 작성하였다. 방법1.. 2018. 6. 5. [TED] Can we create new senses for humans? 사람이 새로운 감각을 느낄 수 있을까? TED 강연 내용이다. 사람은 한정된 감각 기관을 통해 주변 세상을 인지한다. 이렇게 인지한 세상이 뇌 속에서 해석되며 나의 세상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세상은 생물의 "종"에 따라 다르고, 각 객체마다 다르다. 중요한 건 어떤 감각기관이 신호를 보내던지 "뇌"는 해석을 한다는 것이다. 뇌 자체는 세상을 보는 눈이 없다. 컴컴한 두개골 안에 갇혀서 안으로 흘러 들어오는 전기 신호를 받기 밖에 하지 않는다. 눈이 어떤 것을 보던, 코가 어떤 냄새를 맡던, 피부가 어떤 자극을 받던지 간에 뇌는 가만히 신호를 받아들이고 해석하는 일 밖에 하지 않는다. 이런 해석은 개개인의 세상을 만들어낸다. 눈이 전자기파를 수용하여 만들어낸 전기 신호를 이용해 뇌는 3차원의 세상을 구성한.. 2018. 5. 24. [고찰] BA 모델 고찰2 영국에서 맥스란 친구가 온 후 BA 모델을 계속 살피고 있다. BA모델은 성장요소와 성장규칙이 같은 Layer에 존재한다. 여기서 성장요소는 Node와 Edge의 추가이고, 성장규칙은 Node가 지닌 Edge의 수이다. 그래서 엄청나게 많은 수의 Node와 Edge가 추가되면 평균장 근사를 이용한 다음 식이 동작한다. 이 식에서 k_i는 Node i가 지닌 Edge의 개수를 나타내는데, 그 증가율이 현재 자신의 k_i 에 비례한다. k_i가 k_i의 증가율에 비례한다는 것은 k_i가 양의 feedback관계 속에서 Fractal 구조를 형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것이 k_i의 scale-free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것이다. BA모델의 자세한 내용에 관한 이전 글 2017/10/22 - [연구/리.. 2018. 5. 10. [고찰] BA 모델 고찰 바라바시 알베르트의 선호적 연결에 의한 성장 모델은 척도 없는 네트워크를 생성한다. 실제 데이터에서 발견되는 척도 없는 네트워크의 생성 원인을 설명해 줄 수 있는 모델이다. 2017/10/22 - [연구/리뷰] - [논문소개] Barabasi-Albert model (바라바시 알베르트 모델) 저번에는 기본적인 부분을 살펴봤는데 이번에는 의미를 조금 더 생각해 보았다. BA 모델은 성장한다. 그런데 골고루 성장한다. 골고루 성장한다는 것의 의미는 공평하게 성장한다는 뜻은 아니다. 주변에 많은 노드들을 지닌 노드는 새로운 노드가 유입될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하지만, 골고루 성장한다고 표현한 이유는 노드가 지니는 엣지의 수 k와 그러한 노드들이 존재하는 빈도 P(k)가 거듭 제곱의 분포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2018. 4. 26. [TED] Flow, the secret to happiness (몰입상태, 행복의 열쇠) 누구나 행복하고 싶다. 그러나 행복하게 되기 위해 한 가지의 절대적인 규칙이 존재하는 것 같지는 않다. 그래서 누구나 막연히 행복해지고 싶다고 생각하지만, 모든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행복해지는 방법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행복이라는 추상적 개념은 행복에 관련이 있어 보이는 요소들을 검증해나가는 과정을 통해 조금씩 그 실체를 밝혀나간다. 이전 글에서 Sonja Lyubomirsky가 주장한 "자기 주도적 행위"에 의한 행복을 소개한 적이 있었다. 자기 주도적인 행위를 통해 우리는 실로 큰 만족감과 행복감을 느끼며, 생활 속에서 지속적으로 행복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주장이다. (참조: http://mons1220.tistory.com/70) 이번에 소개할 개념은 "몰입 상태(Flow)"다. 이.. 2018. 4. 16. [네트워크이론] Link communities (링크 커뮤니티) 점(노드)과 선(엣지)으로 나타내는 네트워크 구조를 통해 새로운 정보를 얻는 것은 참 매력적이다. 커뮤니티 추출법은 네트워크의 구조 속에서 노드간, 엣지간의 관계를 통해 커뮤니티를 추출하는 방법이다. 저번에는 네트워크 속 커뮤니티의 모듈성을 이용한 커뮤니티 추출법에 대해 공부했었다. 2018/02/18 - [연구/연구] - [네트워크이론] Network Modularity 실제 사용 예 Girvan-Newman algorithm 오늘은 새로운 관점의 커뮤니티 추출법 "Link Community"에 대해 소개한다. Link community는 Edge를 기반으로 커뮤니티를 추출한다. 지난번의 Modularity를 이용한 방법과 다른 점은, 한개의 Node가 여러 개의 Community에 소속될 수 있다는 .. 2018. 4. 15. [개념] 계층 클러스터 분석 "계층 클러스터 분석"의 개념 여러 개의 비교 대상들을 놓고 성질이 비슷한 그룹을 군집화 하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분석 방법이다. 방법은 간단하다. 1. 비교 공간 상에 위치한 대상 간의 거리를 구한다.# 비교 공간 : 1차원-한 개의 비교 값, 2차원-두 개의 비교 값...# 거리 : euclidean 거리(직선), cityblock(직각 거리) 등등.. 2. 거리가 가장 짧은 두 대상을 합친다. 3. 합친 대상을 한 개의 그룹으로 설정, 모든 비교 대상이 한 개의 그룹이 될 때 까지 위의 작업을 반복한다.# 그룹-그룹, 그룹-개인 간의 결합을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Ward 법그룹을 합쳤을 때 새로운 그룹의 중심 값과, 개개의 값의 거리의 합이 최소가 되는 그룹을 합친다.## .. 2018. 4. 11. [TED] The hidden reason for poverty the world needs to address now("폭력"이 가난에 미치는 영향) [이전 글] 2018/03/15 - [생각] - [생각] 시스템을 경계한다 이전 글이 시스템을 경계해야 하는 이유에 대한 이야기라면, 이번에는 시스템이 중요한 이유에 대한 이야기이다. 이번 TED영상은 인권 변호사가 가난한 사람들이 가난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고, 실제로 고통 받는 이유가 "폭력"에 있다고 주장하는 영상이다. 그는 그의 일을 통해 가난한 지역의 주민들이 법과 치안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상황에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러한 폭력이 가난으로부터 벗어나기 힘든 가장 큰 원인을 제공한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정말 가난에서 벗어나기 위해선 단순히 더 많은 돈을 지원하는 것보다 법과 치안을 강화 시키는 프로그램에 더 주목해야 한다고 한다. 실제로 그러한 프로그램들이 있었고, 큰 성공을 .. 2018. 3. 18. [Physics] 끈 이론(String theory) 미시세계를 설명하는 양자역학과 거시세계를 설명하는 상대성이론이 하나로 묶이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지만 자세한 내막에 대해서는 알지 못했다. 아래의 동영상은 이에 관련한 내용으로 유튜브에 올라온 영상이다. Kurzgesagt 라는 과학을 만화로 쉽게 설명해주는 채널에 정리한 초끈 이론에 대한 간단한 이야기이다. 이 영상을 보니 양자역학과 상대성이론의 충돌과, 그를 해결해보고자 등장한 초끈 이론에 대해 "쪼끔은" 이해할 수 있게 된 것 같다. (오른쪽 아래 설정에 한글자막 있음) 2018. 3. 2.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