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150

[논문소개] Scale-Free Networks Generated by Random Walkers 바라바시 선생님이 척도불변성을 지닌 네트워크의 성질을 네트워크의 확장성과, 새로운 노드는 이미 연결을 많이 가지고 있는 노드에 연결되려는 성질(Preferential attachment)로 설명한 논문 Emergence of Scaling in Random Networks (http://mons1220.tistory.com/47)을 읽고 한동안 연결이 지니는 선호성에 대해 생각해보며 가진 궁금증이 있었다. Preferential attachment 는 마치 모든 노드들이 얼마나 연결을 지니고 있는지 미리 알고 있는 것처럼 느껴진다. 누가 얼마나 연결을 지니고 있는지 미리 알고 있고, 그에 따른 확률로 새로운 연결이 생성된다. 연구실에서 네트워크 연구를 하고 있는 친구와 나는 이러한 결정론적인 시각이, 모.. 2017. 12. 30.
[논문소개] The origin of bursts and heavy tails in human dynamics - Barabasi - 심층분석 지난번 가볍게 개요를 정리해 보았던 글에 이어 심층적으로 수식에 대해 생각해보기 위한 글을 써본다. 가벼운 개요는 이쪽에.. ( http://mons1220.tistory.com/64 ) 이 논문에서 사람행동의 Burst성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개념은 Queuing Process이다. 프로그램을 짜다보면,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입력과 출력의 순환을 지니는 구조를 이용한다. 일이 유입되는 방식, 일이 처리되는 방식을 미리 결정해 놓은 이 구조에서는 사용자의 입맛에 맞게 일이 처리된다. 바라바시는 이러한 구조에서 일을 처리할 때, 일의 우선도에 따라 일을 처리하게 되면, 일이 유입되고나서 부터 처리될 때까지의 시간이 우선도가 낮은 일들은 길고, 우선도가 높은 일들은 짧아지면서, 그 빈.. 2017. 12. 24.
[논문소개] 소셜 네트워크와 재산의 관계 복잡계 과학을 설명하는 말 중에 흑연과 다이아몬드 이야기를 좋아한다. 흑연과 다이아몬드는 탄소로 이루어진 물질이라는 점에서는 같지만 구성의 차이로 인해 전혀 다른 특성을 지닌다. 사실 우리가 사는 세상 또한 다르지 않다. 인류가 밝혀낸 자연의 4가지 힘과, 물질을 이루는 입자들을 생각해보자면, 단순하기 그지 없으나, 이들이 상호작용하여 만들어낸 세상은 어마어마한 다양성을 지니고 있다. 복잡계 과학에서는 이러한 상호작용을 통해 발생하는 성질을 "창발"이라 칭하고, 이러한 현상에 주목하고 있다. 오늘 소개할 논문 제목은 "Inferring personal economic status from social network location"이다. "소셜네트워크 상의 위치에 따른 개인의 재정상황 추측하기" 정도로 .. 2017. 12. 20.
[연구] 행복 관련 연구 정리 인공지능을 필두로, 급진적인 과학기술의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오늘날, 그와 상반되는 듯한 주제가 동시에 떠오르고 있다. "인간은 미래에 행복해질 수 있을 것인가"가 바로 그것이다. 기존의 인류가 "생존"에 주목했었다면, 앞으로 과학기술을 통해 힘을 얻은 인류가 추구할 방향은 "행복"이 될 것임을 짐작해볼 수 있다. 그리고, 인간 고유로 생각되어왔던 기술, 일 등의 것들이 새로운 기술로 인해 대체됨에 따라, 인류가 인류 고유의 성질을 찾기 위한 여행을 떠나기 시작한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런데 막상 "행복"을 추구합시다 라고 하여도 행복이 무엇인지, 어떻게 얻어지는지에 대해서는 막연한 것이 사실이다. "행복"이라는 개념 자체가 추상적이고, 그 조건 또한 그때 그때 변하기 때문이다. 오늘은 이 "행.. 2017. 12. 20.
[TED] 주도성이 중요한 이유 다가오는 시대에 주도성이 중요하게 인식이 될 이유에 관한 영상이다. (출처: 페이스북 스마트 마케팅 페이지, TED) 어떤 일에 보수와 처벌의 개념을 도입한다면 더 큰 효과를 얻을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꼭 그렇지만은 않다고 한다. 해야할 일이 명확한 일에 있어서는 보수와 처벌의 도입이 일의 효율이 크게 증가시킨다. 그러나 정답이 불분명하고, 창의성이 필요한 일에서는 보수와 처벌은 오히려 시야를 좁게 만드는 영향을 끼친다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일에 가장 필요한 것은 주도성이라고 한다. 자신이 하고 싶은일을 할 때 가장 일을 잘하게 된다고 하는 것이다. 심리학자 Sonya Lyubomirsky는 행복에 관한 연구를 통해 우리가 가장 행복해 질 수 있는 방법이 주도적인 일을 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주도적.. 2017. 12. 16.
[확률과정] 푸아송 과정 확률과정이라는 말과의 거리감을 줄이기 위해 예를 먼저 들어보자. 이메일의 착신수, 교통사고, 신축주택수, 외국인의 유입수, 서비스 창구 대기인원수.... 등등 한 시점에 관측을 시작하여, 시간이 지날수록 발생횟수가 변화해 나가는 과정을 확률과정을 통해 생각해볼 수 있다. 관측을 시작한 시점을 't=0'로 두고, 발생횟수를 'N(t)'로 두어, 발생횟수에 대해 분석해 나간다. 오늘은 확률과정 중 한 시점에 사상의 확률이 직전의 결과에만 영향을 받는 확률과정인 마루코프 과정, 그 중에서도 푸아송 과정에 대해 정리해 보려고 한다. 푸아송 과정은 정해진 시간 t내에 사건이 k번 발생할 확률을 나타내는 분포가 푸아송 분포로 나타나는 과정이다. 지금부터 푸아송 과정의 네가지 성질과, 이로인해 사건의 발생확률이 푸아.. 2017. 12. 16.
[논문소개] The origin of bursts and heavy tails in human dynamics - Barabasi - 개요 이번에 소개할 논문은 Brabasi-Albert 네트워크 모델로 유명한 Barabasi 아저씨의 논문 2탄 "The origin of bursts and heavy tails in human dynamics" 라는 논문이다. 제목을 해석해보자면, 사람의 행동에서 나타나는 버스트 현상과, 행동을 분포로 나타내었을 때 나타나는 헤비테일의 기원 이라는 거창한 제목이다. 연구목적 잠잠하다가 한꺼번에 몰아서 어떤 일들이 나타날 때 이를 버스트 현상이라고 한다. 그리고, 통계분포에서 테일은 분포에서 큰 값들의 빈도를 가르키는데, 헤비테일이 보인다는 것은 큰 값이 많이 나타났다는 것을 뜻한다. 즉, 사람의 행동은 꾸준히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한번에 몰아서 나타나는 경향이 있고, E-mail, 인터넷, 교통현상 등등 .. 2017. 12. 12.
[논문소개] Nicholas Christakis의 행복에 관한 논문 소개 Nicholas Christakis는 비만, 알콜중독, 행복, 외로움 등이 사람들의 네트워크를 통해 어떻게 전파되었는지 연구해온 학자이다. Framingham Heart Study 라는 기관은 20년이 넘는 장기간 동안 관리 대상자들의 변화를 기록해왔고, 크리스타키스는 이 데이터를 통해 여러가지 현상들이 전파된다는 것을 주장해왔다. 이에 대한 간략한 이야기는 다음 TED 영상을 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http://mons1220.tistory.com/58 난 행복이란 무엇일까에 관심이 많기 때문에 행복과 외로움에 대한 두가지 논문을 읽어보았다."Dynamic spread of happiness in a large social network""Alone in the crowd" 그리고, 다음과 같이 간략.. 2017. 12. 10.
[고찰] 행렬의 가역성 고찰 행렬을 통해 여러 변수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변화해 나가는 과정을 기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x1과 x2가 상호작용 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변화가 없음을 기술할 수 있다. 여기서 t는 상호작용한 step 수를 나타낸다. 또, x1과 x2이 서로 값을 교환하는 관계라면 다음과 같이 기술할 수 있다. 이렇게 행렬을 통해 변수들의 크기에 영향을 받는 상호 작용을 기술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을 이용하면 step이 증가 하면 증가할 수록 변수들이 어떻게 변해가는지를 생각해볼 수 있다. 이렇게 본다면, 행렬의 가역성이란 현재 상태와 상호관계를 통해 이전 상태를 예측할 수 있는가 하는 이야기가 된다. 위와 같이 가역행렬은 상호관계를 표현하는 행렬의 역행렬로 표시할 수 있다. 현재의 상태와 둘의 관계를 알.. 2017. 12.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