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150 [후기] 학습, 커뮤니케이션의 이해와 평가 (연구회) 연구실이 소속된 연구회에 다녀왔다. 올해 테마는 학습과 커뮤니케이션을 이해하고 평가하는 것에 대해서 였다. 2개의 강연이 준비되었고, 그 주제는 각각 뉴로피드백을 통한 학습효과 증진과, 커뮤니케이션 특히 융합적 담화의 평가와 이해에 대해서 였다. 뇌파를 측정에 이용되는 EEG에는 ERP라는 컨셉이 있는데, 자극(사건)이 일어난 후 EEG의 반응을 분석하는 방식이다. 학습 분야에서는 문법적 오류, 상황적 불일치에 따라 ERP에 변화가 생기고, 이는 해당 언어의 숙련자일 수록 큰 변화를 보이는 것을 발견, 언어능력 평가에 이용하고자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영화 한편에 문법적, 상황적 불일치 요소를 배치하고, ERP의 변화를 측정하는 식이다. 반대로, 뉴로피드백 컨셉을 이용하여 학습 효과 증진에 반영하는 반.. 2019. 12. 10. [Complexity] 리아프노프 지수 - 로지스틱 맵 시계열 데이터의 Complexity를 정량화 하는 방법에 리아프노프 지수(Lyapunov exponents)가 있다. Lyapunov 지수는 간단하면서도 카오스적 성질을 지닌 Logistic map의 예제를 통해 그 의미를 가늠해볼 수 있다. 시계열 데이터에서 Complexity란 단순히 진동하거나 증가/감소 하는 성질이 아닌 복잡하고도 예측 불가능한 성질이다. 이러한 성질은 카오스라고도 불리우며, 위상공간에서 기이한 끌개(strange attractor)의 운동을 보이는데, '초기 조건에의 민감성'을 갖는다. '초기 조건에의 민감성'은 나비효과로 널리 알려 있는데, 아주 작은 초기 상태의 차이가 시간이 지날 수록 점점 거대한 차이로 나타나는 특성으로, 계의 예측을 어렵게 혹은 불가능하게 만드는 카오스 .. 2019. 11. 5. [TED] 의식을 이해하기 위한 여행 - 안토니오 다마시오 아주 오래 전부터 감정의 존재에 대한 궁금증을 갖고 있었다. 기쁘다, 귀엽다, 행복하다, 슬프다 와 같은 감정은 왜 있는 것일까? 신경과학자 Antonio Damasio(안토니오 다마지오)는 의식이 우리의 몸 속의 신호로부터 형성된 심상을 다른 심상에 대한 기준으로 삼는 과정에서 형성된다는 주장을 펼친다. 이는 의식이 단순히 뇌 속의 활동 만이 아닌, 신체 내부의 신호와 상호 작용하는 과정, 즉, 대뇌 피질과 뇌간 그리고 몸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생한다는 것이다. 기존 의식의 관점이 대뇌 피질의 활동에 집중하고 있다면, 안토니오의 관점은 체내 신호와 이를 기준으로 한 표상의 형성과정이 의식을 형성한다는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를 주장한다. 다세포 생물은 몸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 2019. 10. 15. [개념] Time series data의 Complexity - 개요 뇌 과학 분야에서 Time series data가 가진 다양한 정보 중 Complexity(복잡성)의 중요성이 조명을 받고 있다고 한다. fNIRS나 EEG와 같은 방법을 통해 취득한 뇌 활동 data에서, 단순히 각 영역의 활성도 뿐만이 아니라, 각 영역 간 기능적 결합성과 복잡성 또한 중요한 특성임이 밝혀지고 있는 것이다. 보통, 시계열 데이터 하면 Trend(경향)이나 Cycle(주기)과 같은 성질이 주로 관심 받는 성질인데, System의 메카니즘을 추정하기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이에, 자기상관이나 푸리에변환 같은 기법은 시계열 데이터 분석의 주를 이루고 있다. 반면, Complexity는 System의 복잡도를 나타낸다. 이는 계의 카오스 적인 성질, 초기 조건에 민감하며 예측이 힘든 정도를 정.. 2019. 10. 12. [네트워크이론] Class size paradox & Friendship paradox 이전 글에서 살펴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의 구조에 따라 소수자와 다수자가 사회를 바라보는 인식이 다를 수 있음을 보였다. 오늘 소개할 Class size paradox와 Friendship paradox 또한 사회적 구조 속에서 나타날 수 있는 인식의 편향을 이야기 한다. Class size paradox 먼저, Class size paradox를 간단히 설명해 보자면, 학교에서 Class를 개설했는데, 학교 측에서 계산한 Class 별 평균 인원보다 학생 측에서 느끼는 Class 별 평균 인원이 더 많은 현상을 말한다. 인터넷에 있는 간단한 예를 들어 설명해 보자. 학교에서 개설한 90개의 Class가 있다. 그 중 80개는 5명, 10개는 50명이 수강 하는 Class이다. 학교 측, 즉 Class 별.. 2019. 9. 23. [생각] 가짜뉴스 고찰 가짜 뉴스 문제의 심각성을 느끼며.. 나를 위한 가짜 뉴스의 요소에 대한 고찰. - 인지부조화 기존에 갖고 있던 인식과는 다른 정보가 유입 되었을 때, 이러한 부조화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인 토론에 나선다. 비슷한 사람들을 찾거나, 설득을 통해 의견을 전파한다. 원래 나쁜 놈이 저지른 폭행 사건 보다, 원래 착한 사람으로 인식되었던 사람의 욕설은 더 자극적이다. 사람들은 이 사람을 착한 사람 프레임에 둘 것인지 나쁜 사람 프레임에 둘 것인지 고민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적극적인 토론이 발생한다. - 상상력 상상력은 없던 사건도 있던 것처럼 인식하는데 큰 영향을 미친다. 사실관계와 상관 없이 상상할 수 있는 소재들의 조합을 통해 사람 또는 사건은 재조명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민을 위한다는 정치인이 명.. 2019. 9. 9. [논문소개] Homophily and minority-group size explain perception biases in social network 네트워크라는 평면적이지 않은 복잡한 구조 속에서 일어나는 현상에는 어떠한 특징이 있을까? 이러한 질문은 복잡 네트워크를 연구하는 중요한 motivation 중 하나 일 것이다. 오늘 소개하는 논문 'Homophily and minority-group size explain perception biases in social network'은 사회에서 비주류(소수자) 그룹의 규모에 대한 인식이 그 사회의 구조에 기인할 수 있음을 설명하는 논문이다. 사회의 구성원은 그 특성에 따라 다수와 소수로 나누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남성과 여성,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흡연자와 비흡연자와 같은 특성이 다양한 사회에서 다수자와 소수자로 나타날 수 있다. 이 때, 사회 구성원 간의 관계를 네트워크로 나타내면 끼리끼리 관.. 2019. 9. 4. [네트워크이론] Label propagation algorithm for community detection 지금까지 다뤄온 community detection의 방식(Girvan-Newman, Louvain, Link community)에서는 일련의 반복 알고리즘을 수행하며, 가장 최적의 검출 상태를 추정하기 위해 Modularity 또는 Partitional density라는 지표를 이용했다. Label propagation은 Agglomerative(점점 덩어리를 불려나가는) 방식과 개념 면에서는 흡사하지만, 지표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면에서 조금 차이가 있다. Label propagation 알고리즘에는 내가 속한 Community는 나의 주변 사람들이 속한 Community일 확률이 높다는 직관적이지만 강력한 개념이 담겨있다. 예를 들어, 'B'라는 community에 속한 node i의 주변 node들.. 2019. 8. 8. [TED] 중독에 관한 새로운 시각 - Johann Hari - Everything you think you know about addiction is wrong Johann Hari는 중독과 우울증에 대해 책을 쓴 작가이다. 이 영상은 중독에 관한 영상으로 중독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주장한다. 중독은 우리가 특정 약물에 의존하는 것을 뜻한다. 우리가 약을 지속해서 접하게 되면 그 의존성이 점점 강해지고 중독되어 벗어날 수 없게 된다는 것이 우리가 갖고 있는 기본적인 개념이다. 이에 대해 화자는 다음과 같은 예를 통해 이러한 이해가 잘못되었다고 주장한다. 우리가 병원에서 중독성 물질을 쉽게 접할 수 있고, 때로는 장기간 투여 받기도 하지만 그럼에도 늘 중독 되지 않는다는 점. 갇혀있는 쥐 실험을 통해 중독의 위험성을 입증한 실험이 쥐들이 살기 좋은 환경에서는 재현 되지 않는다는 점. 베트남 전쟁 시 전 미군 중 약물 사용자가 20%에 달했지만 귀국 후 대부분이 금.. 2019. 7. 16.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7 다음